OSI 참조 모델은 네트워크의 기본이 되는 개념으로, 각 계층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.
7계층 : 응용 계층(Application)
-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
예시 : Telnet, TTP, SMTP, SNMP, FTP, TFTP등
암호 프로토콜 : S/MIME, SET, OTP, PGP, S-HTTP
6계층 : 표현 계층(Presentation)
- 데이터의 표현, 암호화 등을 담당
- 데이터의 압축, 복원, 암호화와 복화화 수행
예시 : ASCII, JPEG
암호 프로토콜 : S/MIME, SET, OTP, PGP
5계층 : 세션 계층(Session)
- 어플리케이션 접근 스케줄링 담당
- 통신을 동기화하고 데이터 교환 관리
예시 : OS, Application, SQL, RPC, SSL
4계층 : 전송 계층(Transport)
- 에러 검출 후에 재전송 담당
- 신뢰성있는(TCP) 데이터전달, 신뢰성없는(UDP) 데이터 전달을 담당
단위 : Segment
예시 : TCP, UDP
암호 프로토콜 : TLS, SSL
3계층 : 네트워크 계층(Network)
- 라우터가 최적의 경로 결정에 사용할 논리적 주소 제공
단위 : Packet
예시 : IP, ICMP, IPsec, ARP, RIP, BGP
암호 프로토콜 : IPSec
2계층 : 데이터링크 계층(Data-Link)
- 오류, 흐름 제어, 동기화
- MAC 주소를 사용하여 접근
단위 : Frame
예시 : 802.3/802.2, HDLC
암호 프로토콜 : PPTP, L2TP, L2F
1계층 : 물리 계층(Physical)
- 장비들 사이에서의 비트 이동을 담당
단위 : Bit
예시 : RJ45, CABLE, NIC
암호 프로토콜 : 모든 비트 암호화